앤드루와 플레처 이야기
한 음악학교로 들어간 앤드루(마이슬 텔러)는 학교의 나소 밴드의 보조 드러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어느 날, 플레처 교수(J.K. 시몬스)를 만나게 된 앤드루는 우연한 기회로 학교 내 최고의 밴드인 스튜디오 밴드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에 자신감이 생긴 앤드루는 마냥 즐겁기만 합니다. 하지만 스튜디오 밴드에서 한 트롬본 연주자가 음정을 맞추지 못하자 플레처 교수가 화를 내며 그를 내쫓아버리는 장면을 보고 당황합니다. 사실 음정이 틀린 사람은 트롬본 연주자 옆에 앉은 멤버였습니다. 플레처도 이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일부러 그에게 모질게 말하며 스스로 음정이 틀렸다고 믿게끔 만든 것이었습니다. 플레처는 이를 보고 자신이 음정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모르는 것부터가 잘못됐다고 말합니다. 이런 앤드루에게 플레처는 '위플래쉬' 연주를 시킵니다. 앤드루가 계속 박자를 틀리자, 앤드루에게도 폭언을 퍼부으며 욕을 해댑니다. 앤드루의 뺨을 때리기도 하고, 성차별도 서슴지 않으며 그를 몰아세웁니다. 앤드루는 이러한 상황에 눈물만 나옵니다. 하지만 앤드루는 계속해서 드럼 연습에만 매진합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대회에서 앤드루는 학교가 1위를 할 수 있도록 기여를 하게 되고 이후 메인 드러머 자리에 올라서게 됩니다. 정말 오랜만에 기쁨을 만끽하는 앤드루에게 친척이 음악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며 무시하는 발언을 합니다. 이렇게 점차 앤드루 역시 독기를 품은 채 드럼 연주에만 몰두하게 됩니다. 다음 날, 공연장으로 향하던 앤드루가 타고 있던 버스 타이어가 펑크가 납니다. 겨우겨우 공연장에 도착한 앤드루에게 플레처는 스틱이 없는 앤드루에게 연주자를 바꾸겠다고 말합니다. 허둥지둥 스틱을 챙겨오다가 앤드루가 그만 교통사고까지 나버립니다. 그럼에도 끝까지 공연장에 도착했지만 연주를 끝내 못하게 되자, 플레처에게 덤벼듭니다. 이후 앤드루는 학교에서 플레처의 잔인하고 잔혹한 교수 방법을 지적하고 드럼 연주 역시 포기합니다. 그렇게 평범하게 살아가던 앤드루는 한 재즈 바에 들어갑니다. 그곳에서 한 밴드를 지휘하고 있는 플레처를 만납니다. 플래처는 앤드루에게 같이 공연을 하자고 합니다. 사실 플래처가 같이 공연을 하자고 한 이유는 따로 있었습니다. 그에게 복수를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렇게 플레처는 앤드루가 알지 못하는 곡으로 연주를 합니다. 앤드루는 당황해서 무대 밑으로 내려옵니다. 하지만 다시 무대로 올라가 캐러밴을 연주합니다. 밴드 역시 앤드루를 따라 연주하기 시작합니다. 플래처 역시 앤드루의 연주에 맞춰 박자를 맞추기 시작합니다. 플레처는 앤드루가 자신의 한계를 넘어섰다는 것을 느끼고, 서로 마주보며 활짝 웃어 보입니다.
평가단의 의견
영화 평론가들뿐만 아니라 일반 관객들 모두에게 좋은 평가를 받은 영화입니다. 영화 위플래쉬는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 음향상을 수상하고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 수상, 선댄스 영화제 심사위원 대상 등 다양한 수상 이력이 있습니다. 그만큼 대중적으로 그리고 많은 전문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로튼토마토, 메타크리틱 등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국내 씨네 21 전문가 역시 8.67점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이렇게 높은 평가에 앞서 평론가들은 하나같이 입을 모아 황홀할 지경의 드럼 연주를 언급합니다. 영화의 스토리도 흥미롭지만, 정말 드럼 연주에 흠뻑 빠진 주인공과, 그에 어울리는 멋진 드럼 연주 역시 감탄을 자아내기 때문입니다. 저 역시 이 영화를 보고 나서 주인공의 드럼 연주가 한동안 계속 생각이 났습니다. 또한 멋진 드럼 연주뿐만 아니라 스토리 면에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플레처 교수의 강압적이고 자비 없는 교육이 정당한 것일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결국 플레처 교수의 그런 지도가 있었기 때문에 앤드루가 자신의 한계를 넘어섰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플레처 교수가 앤드루를 몰아세우는 과정에 있어서 거의 스릴러 영화에 가깝기 때문에 보는 내내 몰입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이렇게 드럼 연주, 스릴 넘치는 스토리,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 등 모든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기에 위플래쉬 영화는 아직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목표를 향해
이 영화를 보면서 어떤 분야든 미친 듯이 노력을 해야 내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듭니다. 영화를 보고 있노라면 너무 극한의 상황으로 몰아붙이는 플레처 교수가 납득이 가진 않습니다. 저렇게까지 이기적이고 인간미 없는 모습으로 교육하는 게 교육자의 모습이 맞는가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는 앤드루가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어 실력 있는 드러머로 성공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영화이기에 해피엔딩처럼 영화가 마무리되었긴 했지만, 실제로 나를 가르쳐주는 스승의 모습이 플레처 교수 같다면 버티기 힘들다는 생각이 듭니다. 영화 속 플레처 교수의 지도 방침은 무조건적인 사랑은 전혀 느껴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의 결론은 가르쳐주는 스승의 모습으로 플레처 교수가 맞는다는 생각은 들지 않지만, 내가 도전하는 분야, 목표에 있어서는 정말 앤드루처럼 피나는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합니다. 끈기가 없거나, 내가 지금 목표를 위해 잘 헤쳐나가고 있는지 의문이 드는 분들이 보면 다시금 에너지를 얻어 목표를 향해 걸어가는 귀감을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영화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크홀 코미디 재난 영화 등장인물과 줄거리 (0) | 2022.12.21 |
---|---|
부산행, 한국 좀비 영화 줄거리와 등장인물 정보 (0) | 2022.12.20 |
영화 올빼미 배우 및 기본 정보와 추천드리는 이유 (0) | 2022.12.19 |
47미터 (2017) 스릴러 공포 영화 줄거리 및 정보 (0) | 2022.12.18 |
살인 의뢰, 보는 내내 화가 나는 범죄 영화 후기 (0) | 2022.1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