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 인물을 영화화하다
영화 '말아톤'은 2005년에 개봉한 영화입니다. 자폐를 지닌 배형진이라는 분과 그의 어머니에 대한 내용을 영화로 만들어 사람들의 관심을 이목 시켰습니다. 또한 배형진 분을 연기한 배우 조승우의 연기력이 화제가 되기도 한 영화입니다. 실제로 배형진이라는 분은 2001년 19살이라는 나이로 춘천시 마라톤 대회에서 42.195km를 2시간 57분 7초에 완주하였고, 2002년 8월 25일에는 속초에서 개최한 철인 3종 경기에 도전해, 수영 3.8km, 사이클 180.2km, 마라톤 42.195km를 총 15시간 6분 32초에 결승점을 통과하였습니다. 이에 국내 최연소, 그리고 장애인 최초 철인에 올랐다고 합니다. 신체가 건강한 성인들도 도전하는 것부터가 큰일이고, 이를 성공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노력이 필요한데, 이를 여러 차례 성공했다는 사실이 대단하게 느껴집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배형진의 어머니는 '달려라! 형진아'라는 책을 쓰게 되셨습니다. 배우 조승우는 배형진 분을 연기하기 위해 삼성 의료원에서 자폐 고증 자문을 지원받기도 하였습니다. 배형진 분은 자폐로 인해 성숙한 몸과 달리 5살 지능을 가진 한 청년이고, 영화에서처럼 초코파이와 얼룩말, 그리고 달리기를 좋아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훌륭한 인물로 키워내는 데에는 어머니 김경숙 분의 보살핌과 노력이 뒤따랐을 것입니다. 이는 연기자 김미숙이 연기하였습니다.
어떤 내용을 담았는가
얼룩말과 초코파이를 좋아하지만 자폐성 장애를 지닌 청년 윤초원(조승우)은 몸은 점점 자라나지만, 정신연령은 5세에 머물러있습니다. 그런 그는 어린 시절부터 달리기를 꾸준히 해왔습니다. 엄마 경숙(김미숙)은 그런 아들이 마라톤 서브쓰리 달성에 성공하는 것을 목표로 훈련시킵니다. 한편, 마라톤 우승 경력이 있는 유명한 마라토너 정욱(이기영)은 음주 운전으로 사회봉사 명령을 받은 후, 초원이가 다니는 학교에 오게 됩니다. 이에 엄마 경숙은 정욱에게 자신의 아들 초원이를 맡아달라고 합니다. 하지만 정욱은 훈련은커녕 초원이를 데리고 노래방에 데리고 가는 등의 행동만 보여줍니다. 초원이는 달리기가 하고 싶다고 하자 정욱은 홧김에 학교 운동장에서 100바퀴를 뛰라고 하고 잠에 듭니다. 정욱이 한숨 자고 일어났는데 초원이가 안 보입니다. 엄마 경숙 역시 정욱에게 초원이를 찾습니다. 이에 정욱은 학교 운동장으로 달려가 보았습니다. 그곳에서 진짜로 운동장 100바퀴를 뛰고 있는 초원이를 발견합니다. 초원이는 백 바퀴를 다 뛴 후 정욱에게 다가가더니 자신의 심장에 손을 갖다 댑니다. 정욱은 이런 초원의 모습을 보고 다시 마음을 잡고 마라톤 서브쓰리를 목표로 훈련을 시작하기로 합니다. 한편, 엄마 경숙과 정욱과의 갈등이 생깁니다. 정욱은 엄마 경숙이 초원이의 마라톤에 너무 집착하는 것 같다며 그런 식으로 하지 말라고 이릅니다. 그 말에 엄마 경숙은 자신이 진짜 초원이를 너무 몰아붙인 것이 아닌가 생각하고 초원이의 마라톤을 포기합니다. 그리고 경기 당일, 엄마 경숙은 그동안의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쓰러지게 됩니다. 하지만 달리기가 하고 싶었던 초원이는 엄마 몰래 경기장으로 달려갑니다. 이 소식을 알게 된 경숙은 아픈 몸을 이끌고 빨리 경기장으로 달려가 봅니다. 그곳에서 초원이를 발견하고는 경기장에서 나오라고 합니다. 하지만 초원이는 계속해서 달리기를 할 거라고 얘기합니다. 실랑이가 계속 이어지던 중, 초원이는 자기 다리에 대해 물어봅니다. 그 질문을 들은 경숙은 자신의 아들이 정말 달리기가 하고 싶다는 것을 느껴 초원이를 놓아줍니다. 초원이는 그렇게 마라톤 완주에 성공합니다.
장애를 바라보는 시선
이 영화를 보면 자폐라는 장애에 대해 다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됩니다. 제가 고등학교 시절에 저희 반에 자폐를 가진 친구가 있었습니다. 이 친구는 영화 속 초원이 보다 더 심한 자폐를 앓고 있어서 의사소통도 제대로 되지 않았지만, 그 친구가 학교생활을 잘 할 수 있게 도우미 역할을 자처하여 도와준 적이 있습니다. 그런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더 영화 속 초원이가 가깝게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자폐를 앓고 있어도 똑같은 친구이고, 그들도 그들만의 대단한 능력이 있는 소중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이 영화가 개봉했을 때, 차별적인 발언을 한 사람들도 많았다고 합니다. 실존 인물인 배형진 분을 인터뷰하던 기자는 이미 성인이 배형진 분에게 배형진 군이라며 아이 부르듯 부르거나, 동네 아이 부르듯이 '형진아~'라고 부르는 듯한 행동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모습을 보면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장애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 역시 이러한 편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다시금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편견 없이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 영화는 자폐에 대해 잘 고증이 되어 있어서, 대학교에서 2020년까지 교재로도 이용되었다고 합니다. 누구든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면 할 수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영화. 장애를 지니고 있던 지니지 않고 있던 다 똑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감동적인 영화 '말아톤'입니다.
'영화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판타지 인생 영화로 추천 (0) | 2022.12.17 |
---|---|
아이 필 프리티, 미국 코미디 영화 줄거리 소개 (0) | 2022.12.17 |
러브레터 최근 재개봉한 일본의 로맨스 영화 소개 (0) | 2022.12.16 |
비상선언, 최고의 배우들이 연기로 살려낸 영화 (0) | 2022.12.15 |
보헤미안 랩소디 영화같이 살다 간 프레디 머큐리 (0) | 2022.12.15 |
댓글